배선・연결
(EN 574 및 EN 60204-1에 준함)
각 푸시 버튼 회로의 단선과 접지, 교차 단락을 검지합니다.
백 체크 회로를 X1-X2 사이에 연결하여 마그넷 콘택터 및 강제 가이드식 릴레이 등의 외부 연결 기기의 고장을 검지할 수 있습니다.
백 체크 회로가 불필요한 경우는 X1-X2 사이를 단락합니다.
EN 574(1997년 2월)에 준하는 타입 Ⅲc에 적합합니다.
![양손 푸시 버튼의 연결 예 [1]](https://kr.industry.panasonic.com/hubfs/pid-corp/products/fasys/sensor/safety/srb201zh/wiring-connection/images/pic01.jpg)
(EN 574 및 EN 60204-1에 준함)
각 푸시 버튼 회로의 단선과 접지, 교차 단락을 검지합니다.
백 체크 회로를 X1-X2 사이에 연결하여 마그넷 콘택터 및 강제 가이드식 릴레이 등의 외부 연결 기기의 고장을 검지할 수 있습니다.
백 체크 회로가 불필요한 경우는 X1-X2 사이를 단락합니다.
EN 574(1997년 2월)에 준하는 타입 Ⅲc에 적합합니다.
![양손 푸시 버튼의 연결 예 [2]](https://kr.industry.panasonic.com/hubfs/pid-corp/products/fasys/sensor/safety/srb201zh/wiring-connection/images/pic02.jpg)
1채널 제어입니다.
강제 가이드식 릴레이 또는 콘택터를 통한 접점 수 증설 및 접점 용량 증폭에 적합합니다.
![출력부의 배선 예 [1]](https://kr.industry.panasonic.com/hubfs/pid-corp/products/fasys/sensor/safety/srb201zh/wiring-connection/images/pic03.jpg)
2채널 제어입니다.
강제 가이드식 릴레이 또는 콘택터를 통한 접점 증가・증폭에 적합합니다.
외부 연결 기기의 NC 접점을 백 체크 회로(X1-X2 간)에 직렬로 연결합니다. (*참고) 백 체크 회로가 불필요한 경우는 X1-X2 사이를 단락합니다.
![출력부의 배선 예 [2]](https://kr.industry.panasonic.com/hubfs/pid-corp/products/fasys/sensor/safety/srb201zh/wiring-connection/images/pic04.jpg)
기동 스위치 SW-101/SW-111과의 연결 예(제어 카테고리4)

KA, KB: 강제 가이드식 릴레이 또는 마그넷 콘택터
(주1) : PLC의 X01/X02는 입력, Y01/Y02는 출력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