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이프티 릴레이 유닛 AES1337(종료품)
다운로드
현재 이 제품과 관련된 다운로드할 수 있는 파일이 없습니다.-
수주 종료 정보
-
사양
-
치수도
-
배선・연결
-
사용상의 주의
수주 종료
종료 시기
2021년02월28일
대체 상품의 안내 및 종료 상품의 상세 내용은 아래를 참조하십시오.
수주 종료 정보

사양
종류 | 제어 카테고리4 | |
---|---|---|
형식명 | AES1337 | |
규격 | EN ISO 13849-1 (카테고리4, PLe) , IEC 61508 (SIL3) , IEC 60947-5-3 (PDF-M) , IEC/EN 60204-1, BG-GS-ET-20, BG-GS-ET-14 | |
제어 카테고리 | 4까지 대응 가능 | |
전원 전압 | 24V DC+20-15%, 24V AC+10-15% 리플 P-P10% 이하 | |
소비 전력 | 2.1W 이하 (24V DC 시) , 3.5W 이하 (24V AC 시) (보조 출력 Y1 불포함) | |
주파수역 | 50/60Hz (AC 전원 사용 시) | |
퓨즈 정격 | 내장 전자 퓨즈, 차단 전류 0.6A 이상, 1s 후에 리셋 | |
입력 | NO 접점1 입력+NC 접점1 입력 (S13-S14, S21-S22) | |
입력 동작 | High : 19~28.8V, Low : 0~2V | |
최대 개폐 주파수 | 3Hz (자동 리셋 시) | |
안전 출력(주1) | NO 접점×3 (13-14, 23-24, 33-34) | |
사용 카테고리 | AC-15, DC-13 (EN 60947-5-1) | |
정격 동작 전류(Ie) / 정격 동작 전압(Ue) | 6A/250V AC, 6A/24V DC 저항 부하에서 (유도 부하의 경우는 접점 보호 시) (주2) | |
접점 재질/접점 | 은산화주석(AgSnO) /셀프 클리닝, 강제 가이드식 | |
접점 접촉 저항 | 100mΩ 이하 (초기값) | |
접점 보호 퓨즈 정격 | 6A (슬로우 블로우 퓨즈) | |
기계적 수명 | 1,000만 회 | |
동작 시간 | 120ms (자동 리셋) , 30ms (수동 리셋) | |
응답 시간(복귀 시간) | 20ms 이하 | |
보조 출력 | NC 접점×1 (Y1) | |
개폐 용량 | 100mA/24V DC | |
단락 보호 | 장착 | |
표 시 등 | 전원 표시등(Ui) | 녹색 LED (전원 투입 시 또한 내장 퓨즈 정상 시 점등) |
K1 릴레이 동작 표시등(K1) | 녹색 LED[K1 릴레이 동작(폐) 시 점등] | |
K2 릴레이 동작 표시등(K2) | 녹색 LED[K2 릴레이 동작(폐) 시 점등 ] | |
외부 릴레이 모니터 기능 | 장착 | |
시동 스위칭 기능 | 장착 (전원 24V DC 시에만 유효) | |
과전압 카테고리 | II [VDE 0110, EN 60664] | |
공간 거리/연면 거리 | 4kV/2 [DIN VDE 0110-1 (04.97) ] | |
오염도 | 3 | |
내 환 경 성 | 보호 구조 | 케이스 : IP40, 단자부 : IP20 (EN 60529) |
사용 주위 온도 | -25~+60℃ (주2), 보관 시 : -25~+70℃ | |
내진동 | 10~55Hz 복진폭0.35mm | |
내충격 | 30G (약 300m/s2) 충격 작용 시간 11ms | |
케이스 재질 |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| |
연결 방식 | 탈착식 셀프 업 나사 단자 | |
배선 케이블 | 외선 : 0.25~2.5mm2 같은 지름의 선 2개를 연결하는 경우 : 0.25~1.5mm2 [연선 또는 페룰(슬리브) 단자 포함] | |
설치 | 35mm폭 DIN 레일에 적합(EN 50022) | |
단자부 표시 | DIN EN 50005/DIN 50013 | |
PFHD | 5.0×10-9/h (연간 최대 36,500 개폐 사이클과 최대 60% 부하 시) | |
사용 수명 | 20년 | |
질량 | 230g |
(주1) : 유도 부하(커넥터, 릴레이 등)를 연결할 때는 아크 킬러 등 적절한 보호 회로를 사용해 주십시오.
(주2) : 사용 주위 온도가 +45℃ 이상인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전류 제한이 있으므로 '디레이팅'을 참조해 주십시오.
치수도
- 단위mm
AES1337
배선・연결
세이프티 자기 스위치 BNS□-11z□와의 배선 예
(주1) : 위 그림은 수동 리셋의 경우입니다. 자동 리셋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X2에 연결되어 있는 배선을 X3에 재연결해 주십시오.
이 경우 리셋(RESET) 버튼은 필요없습니다.
(주2) : 리셋(RESET) 버튼에는 모멘터리식 스위치를 사용해 주십시오.
- 배선 예는 방호문을 닫은 상태(비통전 상태)를 나타냅니다.
타임 차트
수동 리셋 시 전원 전압:24V DC 시(24V AC 사용 시는 달라집니다.)
세이프티 자기 스위치 BNS□-11/01z□와의 연결 예
(주1) : 위 그림은 수동 리셋의 경우입니다. 자동 리셋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X2에 연결되어 있는 배선을 X3에 재연결해 주십시오.
이 경우 리셋(RESET) 버튼은 필요없습니다.
(주2) : 리셋(RESET) 버튼에는 모멘터리식 스위치를 사용해 주십시오.
- 동작 표시등이 없는 자기 스위치는 20대까지 직렬 연결이 가능합니다. 동작 표시등이 있는 자기 스위치 BNS260/36-□zG-□는 1대에 한합니다.
- 여러 대의 BNS 시리즈를 연결할 때는 NO 접점 출력을 병렬, NC 접점 출력을 직렬로 연결해 주십시오.
- 본 제품의 보조 접점을 사용하여 방호문의 개폐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습니다.
- 비상 정지 스위치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. 접점부는 1NO 접점 및 1NC 접점을 각 1개 사용합니다.
- 연결 예는 방호문을 닫은 상태(비통전 상태)를 나타냅니다.
- 연결 예는 동작 표시등이 없고 보조 접점이 있는 타입을 기재하였습니다.
세이프티 스위치와의 연결 예
(주1) : 위 그림은 수동 리셋의 경우입니다. 자동 리셋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X2에 연결되어 있는 배선을 X3에 재연결해 주십시오.
이 경우 리셋(RESET) 버튼은 필요없습니다.
(주2) : 리셋(RESET) 버튼에는 모멘터리식 스위치를 사용해 주십시오.
- 배선 예는 문을 닫은 상태(비통전 상태)를 나타냅니다.
- 세이프티 도어 스위치는 강제 개리 NC 접점이 있는 것을 사용해 주십시오.
비상 정지 스위치(푸시 버튼식・와이어식)와의 연결 예
(주1) : 위 그림은 수동 리셋의 경우입니다. 자동 리셋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X2에 연결되어 있는 배선을 X3에 재연결해 주십시오.
이 경우 리셋(RESET) 버튼은 필요없습니다.
(주2) : 리셋(RESET) 버튼에는 모멘터리식 스위치를 사용해 주십시오.
- 배선 예는 비상 정지 스위치의 NC 접점이 닫힌 상태(비통전 상태)를 나타냅니다.
배선 예
비상 정지 스위치의 연결 예
2채널식 비상 정지 스위치입니다.(EN ISO 13850 / ISO 13850 / EN 60947-5-5에 준함) 비상 정지 회로의 단선과 접지를 검지합니다. 비상 정지 회로의 교차 단락을 검지합니다. ISO 13849-1에 준하여 제어 카테고리4, PLe까지 대응 가능합니다.
도어 스위치의 연결 예
2채널 방호문 감시 기능, 강제 개리 기구 부착 도어 스위치입니다.(ISO 14119에 준함) 문 감시 회로의 단선과 접지를 검지합니다. 문 감시 회로의 교차 단락을 검지합니다. ISO 13849-1에 준하여 제어 카테고리4, PLe까지 대응 가능합니다.
세이프티 자기 스위치의 연결 예
2채널 세이프티 자기 스위치입니다. (EN 60947-5-3에 준함)
ISO 13849-1에 준하여 제어 카테고리4, PLe까지 대응 가능합니다.
연결 가능한 자기 센서는 BNS260-□, BNS36-□, BNS120-11z□입니다.
출력부의 배선 예 [1]
1채널 제어입니다. 강제 가이드식 릴레이 또는 콘택터를 통한 접점 수 증설 및 접점 용량의 증폭에 적합합니다.
출력부의 배선 예 [2]
2채널 제어입니다. 강제 가이드식 릴레이 또는 콘택터를 통한 접점 수 증설 및 접점 용량의 증폭에 적합합니다.
백 체크회로 배선상의 주의
수동 리셋을 사용하는 경우 그림(a)와 같이 백 체크 회로를 X1-X2 간에 연결합니다. 본 장치는 리셋 버튼을 눌렀다 떼었을 때 리셋됩니다(OFF 스위칭 기능). 자동 리셋을 사용하는 경우 그림(b)와 같이 백 체크 회로를 X1-X3 간에 연결합니다. 백 체크 회로가 필요없는 경우는 X1-X3 간을 단락시킵니다.
회로 구성상의 주의
위험 영역으로 액세스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추가 보호 방책을 실시하십시오.
본 제품을 자동 리셋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비상 정지 후 재기동할 때 IEC/EN 60204-1에 준하여 상위 시스템을 통해 예방해 주십시오.
(예기치 않은 기동 방지)
사용상의 주의
배선
- 배선용 단자대에 배선할 때 조임 토크는 0.6N・m로 하십시오.
- 배선 작업은 반드시 전원을 끈 상태에서 하십시오.
- 전원 입력은 정격을 초과하지 않도록 전원 변동을 확인하십시오.
- 전원에 시판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반드시 프레임 그라운드(F.G.) 단자를 접지해 주십시오.
- 고압선 및 동력선과의 병렬 배선, 동일 배선관의 사용은 피해 주십시오. 유도로 인한 오작동의 원인이 됩니다.
- 오배선은 내부 회로를 파손하므로 전원 투입 전에 배선을 확인해 주십시오.
- 본 제품을 설치할 기계 또는 제어반은 반드시 접지하십시오. 또한 배선은 접지된 금속제 제어반 내에서 처리해 주십시오.
각부의 명칭과 기능
디레이팅
안전 출력의 정격 동작 전류(Ie)는 사용 주위 온도에 따라 다릅니다.
기타
- 본 제품은 SCHMERSAL사 제품입니다.
- 본 제품은 공업 환경에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/제조된 제품입니다.
- 기재된 내용은 제품의 개선 등을 위해 예고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.
- 유닛의 감합부에는 안전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. 이 스티커를 떼거나 파손한 경우에 유닛 자체가 안전 기기로서 인정받지 못하므로 주의해 주십시오.
- EMC 지령, 저전압 지령에 적합한 전원 유닛을 사용해 주십시오.
(유럽에서 사용할 경우) - CLASS2 대응 전원 유닛을 사용해 주십시오.(북미에서 사용할 경우)
- 전원 투입 시의 과도적 상태(약 2s)를 피해 사용하십시오.
- 사용 전원에 서지가 발생할 경우는 발생원에 서지 흡수기를 연결하여 서지를 흡수해 주십시오.
- 증기, 먼지 등이 많은 장소 및 물, 약품 등이 닿는 곳, 부식성 가스 등의 환경에서는 사용을 피해 주십시오.
- 시너 등의 유기용제 및 물, 유지 등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.
- 제어반 내에서 사용하며, 실외에서는 사용하지 마십시오.
- 밀폐된 제어반 내에서 사용하면 본 제품의 발열로 인해 사용 주위 온도의 정격이 초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 방열을 고려한 제어반 내에서 사용하십시오.